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리눅스
- 트레이딩 봇
- SNRKS
- 카페
- 파이썬
- python
- 비트코인
- mount
- virtualbox
- UBIFS
- bot
- 커피
- 세종
- 나이키
- 마운트
- 공유폴더
- CMAKE_CXX_COMPILER
- 챗지피티
- ChatGPT
- ubuntu
- nandsim
- 맛집
- No JVM
- python3-venv
- Linux
- 암호화폐
- Trading
- 에러
- 가상화폐
- freqtrade
- Today
- Total
beauty in struggle
[가상화폐 트리이딩 봇 만들기 Part.3] freqtrade Telegram 연동 본문
freqtrade는 가상화폐 트레이딩 봇을 Telgram과 연동하여 이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먼저, 텔레그램에 접속해서 텔레그램의 bot API를 이용해 채팅방을 만든다.
그리고 만든 채팅방의 정보를 freqtrade의 config 파일에 적용하고 freqtrade를 실행하면 된다.
1. Telegram bot API(BotFather)를 통한 chat bot 설정
- BotFather 검색 후에 대화를 시작
- t.me/user_name 으로 생성되는 링크를 눌러 대화창 오픈
- HTTP API를 freqtrade를 통해 생성한 config.json파일에 적용
- BotFather와 동일하게 userinfobot을 검색 후 대화를 시작해 /start 명령어로 user id 검색. 이 user id도 config.json 파일에 적용
2. config.json 파일에 텔래그램 정보 적용
- "token" 부분에 HTTP API 값 입력
- "chat_id" 부분에 Id 값 입력
- "keyboard" 부분에는 freqtrade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기능 값을 입력함
3. freqtrade 실행 (Dry-run or simulation mode)
- trading 전략으로는 제공되는 Strategy001.py를 사용했다.
- strategy python 디렉토리를 따로 정해주지 않을 경우, 해당 파일은 ./user_data/strategies에 위치해야함
>> freqtrade trade -s Strategy001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트레이딩 봇이 동작하면서 telegram의 bot 채팅방으로 아래와 메시지가 날아온다.
"keyboard"에 입력한 기능 키워드들을 입력하면, 해당하는 동작이 수행되고 그 결과 값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