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python
- 나이키
- 챗지피티
- 카페
- nandsim
- 트레이딩 봇
- UBIFS
- 파이썬
- mount
- 공유폴더
- Linux
- freqtrade
- ChatGPT
- CMAKE_CXX_COMPILER
- Trading
- 커피
- 마운트
- 세종
- 리눅스
- python3-venv
- 에러
- SNRKS
- virtualbox
- ubuntu
- 암호화폐
- 비트코인
- No JVM
- 맛집
- bot
- 가상화폐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9)
beauty in struggle
vmware에 ubuntu를 새로 설치하고 필요한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빌드하는데, "No CMAKE_CXX_COMPILER could be found" 오류가 발생. 새로 설치한 환경에서 발생한 오류이기 때문에, 환경변수가 꼬이는 등의 문제가 아니라 필요한 패키지만 찾아서 설치해주면 될 것 같음. 예상대로 아래와 같이 필요한 패키지 설치해서 쉽게 문제 해결. # install required pacakges sudo apt update sudo apt upgrade sudo apt install build-essential # try to build the program again make build
- Check target NAND device parameters to simulate it on your RAM sudo modprobe nandsim first_id_byte=0x2c second_id_byte=0xdc third_id_byte=0x00 fourth_id_byte=0x55 - Check the device cat /proc/mtd - Flash the target UBI image into the device sudo dd if=ubi_img.bin of=/dev/mtd0 bs=2048 - Attach UBI tranlation layer sudo modprobe ubi sudo ubiattach -p /dev/mtd0 -O 2048 - Check the UBI and mount t..

먼저 vmware GUI에서 linux guest에 공유폴더(vm_shared)를 설정 해준다. vmware guest인 linux의 terminal에서 다음 command로 vmware에서 공유된 폴더를 불러온다. vmware-hgfsclient * ~/shared 폴더를 만들고, 여기에 shared folder를 mount 한다. mkdir ~/shared sudo vmhgfs-fuse .host:/vm_shared ~/shared -o allow_other -o uid=1000 이 설정은 linux가 재시작할 때마다 사라지기 때문에, linux가 booting될때 이 공유폴더가 자동으로 mount 되도록 해준다. - 먼저 /etc/fstab 파일을 열고, sudo nano /etc/fstab - 아..
WSL에서 python jpype 사용하다가 "jpype._jvmfinder.JVMNotFoundException: No JVM shared library file (libjvm.so) found. Try setting up the JAVA_HOME environment variable properly." 오류가 발생. JAVA_HOME PATH 설정이 안되있나? echo $JAVA_HOME >> 아무런 PATH 값도 뜨지 않는다. 어디에 PATH를 잡아줘야할지 모르니, 그냥 JAVA를 설치해서 기본 PATH로 잡히게 해보자. sudo apt install default-jdk 설치 후, 터미널을 재실행시켜 에러가 발생했던 코드를 다시 실행해보니 잘 동작한다!
윈도우즈 11에서 WSL 설치 후, 가상화된 우분투 환경에서 아래 명령어로 python3-venv 설치가 안되는 문제 발생 - 사용중인 WSL 버전: 1.1.6.0 sudo apt-install python3-venv 아래와 같이 진행 후 정상적으로 설치되었음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libpython3-dev sudo apt-get install python3-venv
(Javadoc 기반의) API documents 등을 다운로드해서 offline으로 보고 싶을 때, wget을 사용하면 된다. 다운로드 하고자하는 (최상단) Javadoc URL이 www.i_want_this_javadoc.io/javadoc/index.html 일때, 아래의 코드로 연결되어 있는 javadoc html 파일을 모두 받을 수 있다. wget -r -np -k -p www.i_want_this_javadoc.io/javadoc/index.html -r: download recursively -np: not to ascend to the parent directory -k: convert links to point to the local file system (Javadoc HTML을 of..

Ubuntu 22.04 LTS에는 기본적으로 python3.10이 설치되어있는데, 이런저런 작업을 하다보면 다른 버전의 python이 필요할 때가 있다. 아래의 방법으로 python3.8을 추가로 설치했다. 1. 파이썬 패키지를 갖고 있는 PPA 추가 sudo add-apt-repository ppa:deadsnakes/ppa 2. 원하는 버전의 python 설치 sudo apt install python3.8 python3.8-distutils (설치 후에 python3.8 --version으로 설치 확인) 3. 원하는 버전에 맞는 pip 사용을 위해 ~/.bash_aliases에 사용하고자하는 명령어 등록 pip3.8="python3.8 -m pip" (pip3.8 --version으로 pip ver..
업무를 하다가 IP를 바꿔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마우스로 클릭클릭 하기 너무 귀찮아서 batch 파일실행으로 대체했다. 네트워크 주소를 A 또는 B를 오고가야하는 상황일 때, 아래의 batch 파일을 생성 및 실행해서 간단히 네트워크 주소를 변경할 수 있다. @echo off echo setip.bat executed set NAME="YOUR_NETWORK_NAME" set A_IP=xxx.xxx.xxx.xxx set A_Subnet=xxx.xxx.xxx.xxx set A_Gateway=xxx.xxx.xxx.xxx set B_IP=xxx.xxx.xxx.xxx set B_Subnet=xxx.xxx.xxx.xxx set B_Gateway=xxx.xxx.xxx.xxx set B_DNS=xxx.xxx.xxx..